화인스텍 로고

지식정보

블로그

Progressive VS Interlaced

2021-09-24

Progressive VS Interlaced

 

안녕하세요? 화인스텍 마케팅 팀 입니다.

화인스텍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영상 출력 방식인 Progressive 와 Interlaced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이야기를 다루는 이유는 TV 포맷 머신 비전 카메라의 출력 방식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2000년대 머신비전을 주름잡던 대표적인 카메라들의 설명서에서

PAL, NTSC 와 같은 주사 방식을 보실 수가 있는데

Interlaced 주사방식 TV의 표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PAL : 초당 50 필드, 625 라인, 짝수 필드 우선

NTSC : 초당 59,94 필드, 525 라인, 홀수 필드 우선

SECAM : 초당 50필드, 625 라인

 

우리가 현재 쉽게 접하는 사양 중에 1080p, 1080i 와 같은 것인데

액션캠 이나 DSLR, 미러리스 카메라, 휴대폰 동영상 저장 옵션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1080(세로줄수)p(Progressive)60(주사율)

 

1080p60Progressive

1080i60 Interlaced 주사 방식입니다.

 

Progressive 사전적 의미

 

 

순차 주사 방식(循次 走査 方式, 영어: progressive scanning, non-interlaced scanning)은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표시하는 영상의 표시 방법.

<위키백과>

 

Progressive 방식은 말 그대로 하나의 프레임이 한 장의 이미지입니다.

1080p60 이면 정말 60fps의 영상이라는 것이지요.

뭐... 설명할 것이 없네요.

 

Interlaced 사전적 의미

 

 

비월 주사 방식(飛越走査方式, 영어: interlaced scanning)은 하나의 영상을 홀수와 짝수 가로줄로 나뉜 것을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영상의 표시 방식이다.

<위키백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그림 1> 이해를 위한 이미지

 

1080i60은 실제로 홀수 30fps, 짝수 30fps, 가 합쳐서 60fps 이기 때문에

실제 영상은 fps의 절반인 30fps 입니다.

 

Interlaced 출력 방식은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림 2> 샘플 이미지

 

홀 짝의 출력 시간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을 정지하면 위와 같은 이미지입니다.

하지만 사람 눈의 착시현상으로 영상이 재생될 때는 온전한 이미지로 보입니다.

대표적인 장단점을 살펴볼까요?

 

  장점 단점
Progressive

1프레임이 1개의 이미지로 영상 품질이 좋고 고해상도에 유리함

세밀한 (체크무늬 옷과 같은) 수평 패턴에서 깜빡임이 없음

전송 대역폭이 높음.

Interlaced

1프레임을 2개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전송 대역폭을 절반으로 낮출 수 있음.

플리커 현상으로 눈이 피로해질 수 있음.

 

결론은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것 같군요.

 

<그림 3> Progressive와 Interlaced 이해 (출처 : 위키백과)

 

어떠신가요? 도움이 되셨나요?

마지막으로 TV전송방식을 사용하는 전 세계 지도를 끝으로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그림 4> Interlaced TV 분포도 (출처 : 위키백과)

 

첨부파일 :